Regarding the increase in nuclear weapons in China, Russia_ U.S. are always monitoring what Russia and China are doing
Author
Janne Pak
Date
2024-06-12 21:54
(6-12-2024) by: Janne Pak(White House & State Department & Pentagon & Congress Correspondent)
@Q&A with a Pentagon Deputy Press Secretary Sabrina Singh and Janne Pak at the Pentagon Press Briefing on June 12, 2024.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eld the third ‘Nuclear Consultative Group’ meeting in Seoul for two days starting on the 10th. At this meeting, it was announced that joint guidelines on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have been completed to respond to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s a result, a review of concrete responses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was discussed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한미 양국은 10일부터 양일간 3차 ‘핵협의체그룹‘ 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했다. 이번회의에서는 북한 핵에 대응할수 있는 북핵 공동지침이 완성됐다고 발표됐다. 이로서 한미 양국간 북한 핵 대응을 구체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에 대한 검토가 논의됐다.
The United States' direct nuclear response measures and South Korea's conventional response measures work closely together to deter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s.
미국은 핵 대응에 대한 직접적인 조치와 한국은 재래식 대응조치가 서로 긴밀히 협력하면서 북한의 핵 도발을 저지시킨다는 것이다.
The United States still opposes South Korea becoming nuclear-armed. The US deterrence power alone is sufficient to defend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s.
미국은 아직도 한국이 핵무장을 하는 것을 반대한다. 미국의 억지력만으로 북한의 핵 도발을 방어하는 것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However, 75% of South Koreans argue that South Korea must also arm itself with nuclear weapons to escape the threat of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 At the very least, the redeployment of U.S. tactical nuclear weapons should be allowed.
하지만 한국 국민 75%는 한국도 핵무장을 해야만 북한의 핵도발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적어도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만이라도 허용해야 된다는 것이다.
China, Russia, North Korea, and Iran possess nuclear weapons. However, U.S.'s allies South Korea and Japan do not yet have nuclear weapons. The dominant position of experts is that the deployment of tactical nuclear weapons is urgent to keep North Korea, China, Russia, and Iran in check. Of course,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bear the full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furthermore, it can show nuclear weapons as a decisive means to keep opponents from using nuclear weapons carelessly.
중러북 그리고 이란은 핵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동맹인 한국과 일본은 아직 핵을 가지고 있지 않다. 북중러,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서라도 전술핵 배치가 시급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입장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모든 시선을 감수해야 된다는 단점도 있지만 나아가서는 핵에는 핵이라는 결정적인 수단을 보여줄수 있어 상대로 하여금 함부로 핵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견제할 수 있다.
A White House arms control official recently said, “If China and Russia do not reduce their nuclear weapons, the United States may increase nuclear deployments,” which means that the United States may adjust its nuclear capabilities. However, this requires flexibility not only for the United States but also for its allies. I hope it's open.
최근 백악관 군축담당 관리가 “중국과 러시아가 핵무기를 줄이지 않으면 미국이 핵 배치를 늘릴 수도 있다.”고 밝힌것도 미국이 핵능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는 의미라고 볼 때, 다만 이것이 미국뿐만 아니라 동맹국에게도 융통성 있게 열려있기를 바란다.
At today's Pentagon briefing, Deputy Press Secretary Sabrina Singh responded to my question, "Why did a senior White House official recently mention that nuclear posture capabilities would be adjusted?" she said, “We're always assessing, you know, what Russia, what the PRC are doing." and “we're going to continue to monitor.”
오늘 펜타곤 브리핑에서 싱 부대변인은 “최근 백악관 고위 관리가 핵태세 능력을 조정할 것이라고 언급한 이유는 무엇이냐?”는 본기자의 질문에 “아시다시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겠지만 우리는 항상 러시아와 중국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계속해서 모니터링 할 것“이다고 밝혔다.
*For more details, Please See the Q&A from Pentagon Deputy Press Secretary Sabrina Singh and Janne Pak at the Pentagon Press Briefing on June 12, 2024.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브리나 싱 펜타곤 부대변인과 제니 박 기자의 질의응답을 참고하십시오.)
QUESTION:(Janne Pak): Thank you, Sabrina. And two questions. U.S. and South Korea held Nuclear Consultative Group — I mean NCG group meeting in Seoul recently. The review of the U.S. and ROK joint statement said that joint guidelines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has been completed. What are the specific details?
한미 양국이 최근 서울에서 핵협의체(NCG) 회의를 개최했다. 한미 공동성명 검토 결과, 북핵 공동지침이 완성됐다고 나와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입니까?
A:(MS. SINGH): I don't have anything to read out of a specific meeting, Janne. I'm not exactly tracking what you mentioned, but of course we're always monitoring what's happening on the peninsula and aware of, you know, DPRK's provocative activities over the last few days and weeks. But I don't have anything — specifics on a meeting that you just mentioned.
특정 회의에서 읽을 내용이 없어요, Janne. 나는 당신이 언급한 내용을 정확히 추적하고 있지는 않지만, 물론 우리는 한반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항상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지난 며칠, 몇 주 동안 북한의 도발적인 활동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금 말씀하신 회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없습니다.
QUESTION:(Janne Pak): A white House senior officer recently mentioned about the — if China and Russia do not reduce their nuclear weapons, U.S. might, you know, increase the nuclear deployment, the U.S. will adjust its nuclear — I mean nuclear posture capabilities or what is meant?
최근 백악관 고위 관리는 “중국과 러시아가 핵무기를 줄이지 않으면 미국이 핵 배치를 늘릴 수도 있고, 미국이 핵을 조정할 수도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미국이 핵태세 능력을 조정할 것이라고 언급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A:(MS. SINGH): Thanks, Janne, for the question. Bit of a hypothetical there. As you can appreciate, just not going to get into more specifics, but we're always assessing, you know, what Russia, what the PRC are doing. I don't have any announcements to make in terms of force posture changes to our own nuclear posture — or changes to our nuclear posture, I should say, but, you know, we're going to continue to monitor, and I just don't have anything more for you on that.
거기에는 약간의 가설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겠지만 우리는 항상 러시아와 중국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있습니다. 나는 우리 자신의 핵 태세에 대한 무력 태세 변경이나 핵 태세의 변화와 관련하여 발표할 어떤 발표도 없습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우리는 계속해서 모니터링할 것이며 저는 단지 그렇게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Q&A with a Pentagon Deputy Press Secretary Sabrina Singh and Janne Pak at the Pentagon Press Briefing on June 12, 2024.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eld the third ‘Nuclear Consultative Group’ meeting in Seoul for two days starting on the 10th. At this meeting, it was announced that joint guidelines on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have been completed to respond to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s a result, a review of concrete responses to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was discussed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한미 양국은 10일부터 양일간 3차 ‘핵협의체그룹‘ 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했다. 이번회의에서는 북한 핵에 대응할수 있는 북핵 공동지침이 완성됐다고 발표됐다. 이로서 한미 양국간 북한 핵 대응을 구체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에 대한 검토가 논의됐다.
The United States' direct nuclear response measures and South Korea's conventional response measures work closely together to deter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s.
미국은 핵 대응에 대한 직접적인 조치와 한국은 재래식 대응조치가 서로 긴밀히 협력하면서 북한의 핵 도발을 저지시킨다는 것이다.
The United States still opposes South Korea becoming nuclear-armed. The US deterrence power alone is sufficient to defend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s.
미국은 아직도 한국이 핵무장을 하는 것을 반대한다. 미국의 억지력만으로 북한의 핵 도발을 방어하는 것이 충분하다는 것이다.
However, 75% of South Koreans argue that South Korea must also arm itself with nuclear weapons to escape the threat of North Korea's nuclear provocation. At the very least, the redeployment of U.S. tactical nuclear weapons should be allowed.
하지만 한국 국민 75%는 한국도 핵무장을 해야만 북한의 핵도발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적어도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만이라도 허용해야 된다는 것이다.
China, Russia, North Korea, and Iran possess nuclear weapons. However, U.S.'s allies South Korea and Japan do not yet have nuclear weapons. The dominant position of experts is that the deployment of tactical nuclear weapons is urgent to keep North Korea, China, Russia, and Iran in check. Of course,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bear the full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ut furthermore, it can show nuclear weapons as a decisive means to keep opponents from using nuclear weapons carelessly.
중러북 그리고 이란은 핵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동맹인 한국과 일본은 아직 핵을 가지고 있지 않다. 북중러,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서라도 전술핵 배치가 시급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입장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모든 시선을 감수해야 된다는 단점도 있지만 나아가서는 핵에는 핵이라는 결정적인 수단을 보여줄수 있어 상대로 하여금 함부로 핵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견제할 수 있다.
A White House arms control official recently said, “If China and Russia do not reduce their nuclear weapons, the United States may increase nuclear deployments,” which means that the United States may adjust its nuclear capabilities. However, this requires flexibility not only for the United States but also for its allies. I hope it's open.
최근 백악관 군축담당 관리가 “중국과 러시아가 핵무기를 줄이지 않으면 미국이 핵 배치를 늘릴 수도 있다.”고 밝힌것도 미국이 핵능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는 의미라고 볼 때, 다만 이것이 미국뿐만 아니라 동맹국에게도 융통성 있게 열려있기를 바란다.
At today's Pentagon briefing, Deputy Press Secretary Sabrina Singh responded to my question, "Why did a senior White House official recently mention that nuclear posture capabilities would be adjusted?" she said, “We're always assessing, you know, what Russia, what the PRC are doing." and “we're going to continue to monitor.”
오늘 펜타곤 브리핑에서 싱 부대변인은 “최근 백악관 고위 관리가 핵태세 능력을 조정할 것이라고 언급한 이유는 무엇이냐?”는 본기자의 질문에 “아시다시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겠지만 우리는 항상 러시아와 중국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계속해서 모니터링 할 것“이다고 밝혔다.
*For more details, Please See the Q&A from Pentagon Deputy Press Secretary Sabrina Singh and Janne Pak at the Pentagon Press Briefing on June 12, 2024.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브리나 싱 펜타곤 부대변인과 제니 박 기자의 질의응답을 참고하십시오.)
QUESTION:(Janne Pak): Thank you, Sabrina. And two questions. U.S. and South Korea held Nuclear Consultative Group — I mean NCG group meeting in Seoul recently. The review of the U.S. and ROK joint statement said that joint guidelines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has been completed. What are the specific details?
한미 양국이 최근 서울에서 핵협의체(NCG) 회의를 개최했다. 한미 공동성명 검토 결과, 북핵 공동지침이 완성됐다고 나와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입니까?
A:(MS. SINGH): I don't have anything to read out of a specific meeting, Janne. I'm not exactly tracking what you mentioned, but of course we're always monitoring what's happening on the peninsula and aware of, you know, DPRK's provocative activities over the last few days and weeks. But I don't have anything — specifics on a meeting that you just mentioned.
특정 회의에서 읽을 내용이 없어요, Janne. 나는 당신이 언급한 내용을 정확히 추적하고 있지는 않지만, 물론 우리는 한반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항상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지난 며칠, 몇 주 동안 북한의 도발적인 활동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금 말씀하신 회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없습니다.
QUESTION:(Janne Pak): A white House senior officer recently mentioned about the — if China and Russia do not reduce their nuclear weapons, U.S. might, you know, increase the nuclear deployment, the U.S. will adjust its nuclear — I mean nuclear posture capabilities or what is meant?
최근 백악관 고위 관리는 “중국과 러시아가 핵무기를 줄이지 않으면 미국이 핵 배치를 늘릴 수도 있고, 미국이 핵을 조정할 수도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미국이 핵태세 능력을 조정할 것이라고 언급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A:(MS. SINGH): Thanks, Janne, for the question. Bit of a hypothetical there. As you can appreciate, just not going to get into more specifics, but we're always assessing, you know, what Russia, what the PRC are doing. I don't have any announcements to make in terms of force posture changes to our own nuclear posture — or changes to our nuclear posture, I should say, but, you know, we're going to continue to monitor, and I just don't have anything more for you on that.
거기에는 약간의 가설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겠지만 우리는 항상 러시아와 중국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있습니다. 나는 우리 자신의 핵 태세에 대한 무력 태세 변경이나 핵 태세의 변화와 관련하여 발표할 어떤 발표도 없습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우리는 계속해서 모니터링할 것이며 저는 단지 그렇게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Janne Pak, White House Correspondent)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Janne Pak
ㆍ
2024.07.22
ㆍ
Janne Pak
ㆍ
2024.07.18
ㆍ
Janne Pak
ㆍ
2024.07.17
ㆍ
Janne Pak
ㆍ
2024.07.16
ㆍ
Janne Pak
ㆍ
2024.07.16
ㆍ
Janne Pak
ㆍ
2024.07.15
ㆍ
Janne Pak
ㆍ
2024.07.12
ㆍ
Janne Pak
ㆍ
2024.07.11
ㆍ
Janne Pak
ㆍ
2024.07.09
ㆍ
Janne Pak
ㆍ
2024.07.08
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