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 Department: Condemning North Korea’s garbage balloons and ballistic missile launches_ China must play a responsible role
Author
Janne Pak
Date
2024-06-01 17:02
(5-30-2024) by: Janne Pak(White House & State Department & Pentagon & Congress Correspondent)
@Q&A with a State Department Principal Deputy Spokesperson Vedant Patel and Janne Pak at the State Department Press Briefing on May 30, 2024.
North Korea is distributing about 260 "filth" balloons across South Korea every day. Additionally, they are carrying out provocations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disrupting GPS radio waves and launching about 10 ballistic missiles into the East Coast.
북한이 연일 오물풍선 260여개를 한국전역으로 살포하고 있다. 또한 GPS전파 교란과 탄도미사일 10여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도발을 감행하고 있다.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angry at North Korea's unreasonable behavior. However, North Korea is escalating its provocations with China and Russia at its back.
북한의 비상식적인 행동에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분노를 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중국과 러시아를 등에 업고 도발행위 수위를 높이고 있다.
It is regrettable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appears to be ignoring North Korea's violations of the Security Council and is not taking strong measures. Since China and Russia are oppos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t the UN Security Council and are using veto, it seems that they are even more unable to use their power.
유엔안보리는 북한의 안보리 위반행위를 손 놓고 있는 듯 강력한 대책을 세우고 않고 있는 것이 유감이다.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안보리에서 대북 제재를 반대하고 비토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North Korea's barbaric actions are expected to become more severe in the future, and we cannot just sit by and watch.
북한의 야만적인 행동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이는데 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
Only if the UN Security Council makes North Korea pay for its dangerous actions in some form will North Korea no longer repeat its actions.
어떤 형태로든 UN안보리에서 북한의 위험한 행동에 대해 대가를 치르게 해야만이 북한이 더 이상 반복된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다.
Principal Deputy Spokesperson of the State Department, Vedant Patel, responded to my question on briefing today(30th) about the United States' position on North Korea's waste balloons, GPS radio interference, and ballistic missile launches, saying, he said "We strongly condemn this, and it violates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It poses a threat to regional and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nd undermines the world and security, namely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Patel also emphasized that he continues to urge North Korea to refrain from provocative actions and return to diplomacy.
파텔 국무성 부대변인은 오늘(30일) 브리핑에서 북한의 오물풍선과 지피에스 전파교란, 탄도미사일 발사등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묻는 나의질문에,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이는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 및 국제 평화와 안보에 위협을 가하고 세계 및 안보, 즉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킨다고 말했다. 파텔 수석부대변인은 또한 북한이 도발적인 행동을 자제하고 외교로 복귀할 것을 계속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Additionally, in response to the question, “How does the United States view China’s failure to play its role despite North Korea’s continued provocations?” he said, "We continue to believe that there are countries wh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DPRK and have influence with the DPRK that have a responsibility to rein in and influence some of the malign and bad behavior that we are seeing, especially a country lik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sits on the UN Security Council."
"When we’re talking about launches that are in violation of certain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it’s of course incredibly concerning." he said.
또한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미국은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우리는 북한과 관계를 맺고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들이 우리가 보고 있는 일부 악의적이고 나쁜 행동을 억제하고 영향을 미칠 책임이 있다고 계속 믿는다.”면서 “유엔 안보리에서 상임이사국이 중국의 역할이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For more details, please see the Q&A from State Department Principal Deputy Spokesperson Vedant Patel and Janne Pak at the State Department Press Briefing on May 30, 2024.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베단트 파텔 국무성 수석부대변인과 제니 박 기자의 질의응답을 참고하십시오.)
QUESTION:(Janne Pak): Thank you so much. About the North Koreans- I mean, balloons, about – North Korea distributed about 260 garbage balloons across South Korea. They are also attacking GPS radio waves, and have launched about 10 ballistic missiles into the East Sea. What can you say about North Korea continuing its provocation in various ways?
북한 풍선에 관해, 북한은 남한 전역에 약 260개의 쓰레기 풍선을 살포했습니다. GPS전파도 공격하고, 탄도미사일 10여 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북한이 다양한 방식으로 도발을 지속하고 있는 것에 대해 어떻게 말하시겠습니까?
A:(MR PATEL): We continue to call on the DPRK to refrain from provocative actions and return to diplomacy. We condemn the DPRK’s May 29th ballistic missile launch, and these launches, like other ballistic missiles, are in violation of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ey pose a threat to regional and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nd undermine the global and security –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We’ll continue to consult closely with the Republic of Korea, Japan, and other allies and partners on how to best engage with the DPRK.
우리는 북한이 도발적인 행동을 자제하고 외교로 복귀할 것을 계속 촉구합니다. 우리는 북한의 5월 29일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이러한 발사는 다른 탄도미사일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것입니다. 이는 지역 및 국제 평화와 안보에 위협을 가하고 세계 및 안보, 즉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킵니다. 우리는 북한과 가장 잘 협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한국, 일본, 기타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계속해서 긴밀히 협의할 것입니다.
QUESTION:(Janne Pak): How does the United States view China’s failure to play its role despite North Korea continuous provocations?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미국은 어떻게 보는가?
A:(MR PATEL): Well, you’ve heard me say this before, Janne. We continue to believe that there are countries wh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DPRK and have influence with the DPRK that have a responsibility to rein in and influence some of the malign and bad behavior that we are seeing, especially a country lik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sits on the UN Security Council. When we’re talking about launches that are in violation of certain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it’s of course incredibly concerning.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걸 들어본 적이 있을 텐데요, Janne. 우리는 북한과 관계를 맺고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들이 우리가 보고 있는 일부 악의적이고 나쁜 행동을 억제하고 영향을 미칠 책임이 있다고 계속 믿습니다. 특히 북한과 같은 국가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유엔 안보리 이사국인 중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특정 결의안을 위반하는 발사에 관해 이야기할 때, 당연히 매우 우려스럽습니다.(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Q&A with a State Department Principal Deputy Spokesperson Vedant Patel and Janne Pak at the State Department Press Briefing on May 30, 2024.
North Korea is distributing about 260 "filth" balloons across South Korea every day. Additionally, they are carrying out provocations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disrupting GPS radio waves and launching about 10 ballistic missiles into the East Coast.
북한이 연일 오물풍선 260여개를 한국전역으로 살포하고 있다. 또한 GPS전파 교란과 탄도미사일 10여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도발을 감행하고 있다.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angry at North Korea's unreasonable behavior. However, North Korea is escalating its provocations with China and Russia at its back.
북한의 비상식적인 행동에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분노를 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중국과 러시아를 등에 업고 도발행위 수위를 높이고 있다.
It is regrettable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appears to be ignoring North Korea's violations of the Security Council and is not taking strong measures. Since China and Russia are oppos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t the UN Security Council and are using veto, it seems that they are even more unable to use their power.
유엔안보리는 북한의 안보리 위반행위를 손 놓고 있는 듯 강력한 대책을 세우고 않고 있는 것이 유감이다.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안보리에서 대북 제재를 반대하고 비토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힘을 쓰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North Korea's barbaric actions are expected to become more severe in the future, and we cannot just sit by and watch.
북한의 야만적인 행동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이는데 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
Only if the UN Security Council makes North Korea pay for its dangerous actions in some form will North Korea no longer repeat its actions.
어떤 형태로든 UN안보리에서 북한의 위험한 행동에 대해 대가를 치르게 해야만이 북한이 더 이상 반복된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다.
Principal Deputy Spokesperson of the State Department, Vedant Patel, responded to my question on briefing today(30th) about the United States' position on North Korea's waste balloons, GPS radio interference, and ballistic missile launches, saying, he said "We strongly condemn this, and it violates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It poses a threat to regional and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nd undermines the world and security, namely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Patel also emphasized that he continues to urge North Korea to refrain from provocative actions and return to diplomacy.
파텔 국무성 부대변인은 오늘(30일) 브리핑에서 북한의 오물풍선과 지피에스 전파교란, 탄도미사일 발사등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묻는 나의질문에,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이는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 및 국제 평화와 안보에 위협을 가하고 세계 및 안보, 즉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킨다고 말했다. 파텔 수석부대변인은 또한 북한이 도발적인 행동을 자제하고 외교로 복귀할 것을 계속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Additionally, in response to the question, “How does the United States view China’s failure to play its role despite North Korea’s continued provocations?” he said, "We continue to believe that there are countries wh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DPRK and have influence with the DPRK that have a responsibility to rein in and influence some of the malign and bad behavior that we are seeing, especially a country lik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sits on the UN Security Council."
"When we’re talking about launches that are in violation of certain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it’s of course incredibly concerning." he said.
또한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미국은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우리는 북한과 관계를 맺고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들이 우리가 보고 있는 일부 악의적이고 나쁜 행동을 억제하고 영향을 미칠 책임이 있다고 계속 믿는다.”면서 “유엔 안보리에서 상임이사국이 중국의 역할이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For more details, please see the Q&A from State Department Principal Deputy Spokesperson Vedant Patel and Janne Pak at the State Department Press Briefing on May 30, 2024.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베단트 파텔 국무성 수석부대변인과 제니 박 기자의 질의응답을 참고하십시오.)
QUESTION:(Janne Pak): Thank you so much. About the North Koreans- I mean, balloons, about – North Korea distributed about 260 garbage balloons across South Korea. They are also attacking GPS radio waves, and have launched about 10 ballistic missiles into the East Sea. What can you say about North Korea continuing its provocation in various ways?
북한 풍선에 관해, 북한은 남한 전역에 약 260개의 쓰레기 풍선을 살포했습니다. GPS전파도 공격하고, 탄도미사일 10여 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북한이 다양한 방식으로 도발을 지속하고 있는 것에 대해 어떻게 말하시겠습니까?
A:(MR PATEL): We continue to call on the DPRK to refrain from provocative actions and return to diplomacy. We condemn the DPRK’s May 29th ballistic missile launch, and these launches, like other ballistic missiles, are in violation of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They pose a threat to regional and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and undermine the global and security – the global nonproliferation regime. We’ll continue to consult closely with the Republic of Korea, Japan, and other allies and partners on how to best engage with the DPRK.
우리는 북한이 도발적인 행동을 자제하고 외교로 복귀할 것을 계속 촉구합니다. 우리는 북한의 5월 29일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며, 이러한 발사는 다른 탄도미사일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것입니다. 이는 지역 및 국제 평화와 안보에 위협을 가하고 세계 및 안보, 즉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킵니다. 우리는 북한과 가장 잘 협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한국, 일본, 기타 동맹국 및 파트너들과 계속해서 긴밀히 협의할 것입니다.
QUESTION:(Janne Pak): How does the United States view China’s failure to play its role despite North Korea continuous provocations?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 미국은 어떻게 보는가?
A:(MR PATEL): Well, you’ve heard me say this before, Janne. We continue to believe that there are countries wh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DPRK and have influence with the DPRK that have a responsibility to rein in and influence some of the malign and bad behavior that we are seeing, especially a country lik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sits on the UN Security Council. When we’re talking about launches that are in violation of certain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it’s of course incredibly concerning.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걸 들어본 적이 있을 텐데요, Janne. 우리는 북한과 관계를 맺고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들이 우리가 보고 있는 일부 악의적이고 나쁜 행동을 억제하고 영향을 미칠 책임이 있다고 계속 믿습니다. 특히 북한과 같은 국가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유엔 안보리 이사국인 중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특정 결의안을 위반하는 발사에 관해 이야기할 때, 당연히 매우 우려스럽습니다.(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Janne Pak, White House Correspondent)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Janne Pak
ㆍ
2024.07.22
ㆍ
Janne Pak
ㆍ
2024.07.18
ㆍ
Janne Pak
ㆍ
2024.07.17
ㆍ
Janne Pak
ㆍ
2024.07.16
ㆍ
Janne Pak
ㆍ
2024.07.16
ㆍ
Janne Pak
ㆍ
2024.07.15
ㆍ
Janne Pak
ㆍ
2024.07.12
ㆍ
Janne Pak
ㆍ
2024.07.11
ㆍ
Janne Pak
ㆍ
2024.07.09
ㆍ
Janne Pak
ㆍ
2024.07.08
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