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0/2017) * 브레어 하우스(영빈관)앞에서 재미 한인단체들이 사드 한국배치와 문재인 물러가라고 외치고 있다. * 백악관 앞에서 한국의 친북정권을 비판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현정권에 속지마라 외치고 있다. * 북핵사이트를 가만두지 말고 선푝격을 해야 한다고 외친다. * 히틀러같이 김정은 독재자에게는 유화정책이 통하지 않는다. 한.미동맹 강화가 중요하다. * 최근 북한에 석방되어 사망한 웜비어에 대한 애도와 현재 억류된 미국인을 즉각 석방해라 외치고 있다. **백악관 정문앞에서 문재인 정권에 반발 한.미동맹강화와 사드배치를 환영하는 보수들의 열띤 집회가 외신기자들과 백악관 출입기자들의 시선에 집중되었다. 한편 현 정권은 탄핵으로 인해 국민들이 생각할수 있는 기회 조차도 없이 짧은시간에 탄생된 정부라 많은 교포들이 불신의 소리를 내고 있는것은 사실이다. 미 정부도 아직은 문재인 정부를 신뢰할수 있는 정부인지 아닌지를 가름할 시간이 없기 때문에 두고 보면 반드시 정체성이 드러날 것이라고 말한다. 이번 정상회담은 특별한 예우없이 말그대로 업무차 방문한 실무차원의 방문이다(working level, official visit)이다. 한국언론보도는 문재인 대통령의 이번 미국방문에 대해 과잉 찬사 보도를 하고 있다. 현장에서 지켜보건데 특별한 의전도 없고 예우도 없는 보통의 대접을 받은것인데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다. 어제 있었던 저녁식사도 만찬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미국에서는 이를 working dinner라 한다. 일의 연장선에서 서로가 대화를 하면서 식사를 하는것을 의미한다. 국빈방문(State visit)과는 엄청난 차이이다. 군 열병식과 군악대가 참석하여 대통령을 환영하고 붉은 카펫위에서 양국 대통령이 연설을 한 다음 군을 둘러보는 사열식을 끝으로 야외 행사가 종결된다. 하지만 야외에서의 행사는 오늘 날씨가 좋아서...
Janne Pak(박금자) 2017.06.30
(6/29/2017) * 미 재무장관 Steven Munchin 미국이 중국에 대한 경제재재를 시작했다. 오늘 백악관 브리핑에 나와 북한의 경제재재와 중국의 제재를 시작했다고 미 재무성 Steve Munchin장관이 기자들에 설명을 했다. 재무장관은 중국이 아직도 북한에 대해 확실한 역할을 하고 있지 않는데 대해 미국이 직접 중국기업에 손을 봐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서 앞으로 중국을 더 압박하고 세컨더리 보이콧이 행동에 옮겨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필자는 Munchin 재무장관에게 제일 먼저 질문권을 얻었다. Q: 최근 미 의회가 북한 여행 금지법을 발의했는데 대해 재무성이 북한 여행 금지법에 대해 가이드 라인을 설명해 주겠는가? A: 오늘은 이야기 하고 싶지 않다. 그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북한 여행에 관한 것들에 대해 많은 엑숀이 필요하다. 앞으로 이문제에 대해 설명이 나올것이다. 중국은 아직도 기업을 통해 북한에 대해 돈세탁을 돕고 있다. 우리는 철저하게 이를 저지할 것이며 유엔과 미국의 북한에 대한 제재가 반드시 효력을 볼수 있도록 중국으로 하여금 행동을 취하도록 할것이다. 행동이 실현될지 않될지는 두고 봐야 할것이지만 우리의 신념을 믿고 있다. 라고 강력히 말했다. 이 문제에 대해 이번 한국과 미국의 정상회담에서 한국에 제재의 협력을 요청할 것인가? 아직 모르지만 제재 문제가 이슈로 떠오르면 반드시 요구할 수도 있다. 북한이 핵포기를 할수 있도록 제재에 협력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Janne Pak . 한국명: 박 금자/  (재미 언론인) - 20여년 동안 한반도문제를 다루고 있는 여성 언론인 현재도 미국방부, 백악관, 국무성, 국회를 출입하고 있다.
Janne Pak(박금자) 2017.06.30
(6/28/2017) 한.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국가 안보국(NSA)의 선임 전략기획관이 백악관에서 브리핑을 가졌다. 문재인 한국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의 의제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답면하는 시간이다. 필자는 메튜 선임관에게 두가지 질문을 했다. 하나는 미국은 한국과의 FTA에 관해 재협상을 고려하고 있느냐? A: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사드나 핵문제에 관해서는 어느 정도 조율을 하고 있는데 반해 무역협상에 대해서는 반드시 이번에 짚고 넘어갈것이다. 미국은 중국의 불량한 철강과 한국의 자동차등 불균형한 무역거래를 바로 잡기 위해서 기필코 협상에 대한 전면적인 것들을 검토하고 있다. 북핵문제에 관해서는 한국과 미국 양국이 핵을 폐기해야 한다는데 동의하고 있고, 또 사드문제에 대해서는 근본적인것은 변하지 않을것이다. 다만 한국정부가 그들의 내국적인 환경에 필요한 검토가 있음을 상기시키면서 원칙적으로의 사드 한국배치에 대해서는 변한것이 없다고 하니 큰 변동을 기대하지 않고 있다. 사드에 대해서는 정상회담의 main이슈가 아닌것 같다. Q: 문재인 대통령의 이번 미국방문이 국빈방문이냐 실무차원의 방문이냐는 질문에는 A: 실무방문이다 라고 답했다. 국빈방문과 실무차원의 방문은 완전히 격이 다르다 의전행사가 틀리다. 국빈방문은 거대한 행사다. 로즈가든에서의 군악대와 군사열식 그리고 붉은 Red 카페트 위에서 두정상이 함께 연설을 하고 미국가와 애국가가 각각 울려퍼지면서 미 대통령과 함께 군열병식을 두루 하게된다. 이번 문재인 대통령은 이런 행사가 전혀 허용 되지 않는다. 양 대통령이 회담후 로즈가든에서 기자들 앞에서 이번회담의 결과를 알리는 statement를 읽고 끝난다. 기자들의 질문도 없을 것이라 발표됐다. 한국의 TV방송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마치 대단한 의전을 받는 것처럼 호들갑을...
Janne Pak(박금자) 2017.06.29
(6/23/2017) * Mike Pence Vice president 미 언론들이 드디어 북한에 대해 미국의 군사적행동을 언급하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첫째 중국이 북핵문제를 해결하도록 마냥 기다려서는 않된다는 신호다. 둘째 웜비어에 사망에 대한 분노다. 북한이 국제사회에서 위협적인 요소로 남아있다는 것이 미국으로서는 이제 인내의 한계가 왔다는 것이다. 백악관 정례브리핑에서도 연일 북한에 대한 미국의 강경노선을 언급했고 군사적인 행동도 불사하라는 제의를 하기도 했다. 22일 윌슨센터에서 기조연설을 한 펜스 부통령은 북한에 대해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북한은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 가장 위협적인 존재이다. 미국은 야만적인 북한정권을 우선적으로 다룰것이며, 핵 탄도 미사일을 완전히,영원히 포기 할 때가지 외교적 경제적으로 계속 압박할 것이다." 라고 강력히 말했다. 미 의회는 상원의원 19명이 일제히 북한규탄성명을 발표했다. 야만적인 북한을 그냥 둬서는 안되며,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해야된다는 것이다. 강력한 북한 제재압박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측이 한국과 같은 의견제의에 대해 한국은 중국의 눈치를 살피고 있는것이지 동맹국인 미국의 입장을 무시하는 처사를 보이고 있다고 볼멘소리도 늘어 놓았다. "북핵동결을 하면 전략자산 축소를 해라든지 훈련축소" 등을 언급하는것은 한국에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라고 말한다. 물론 중국과 북한으로서는 과히 듣기 좋은 소리에 지나지 않겠지만 북한에게 명분의 기회를 줄수 있다는 점에서 조심스레 입을 열어야 하지 않느냐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대북정책에 있어서 트럼프 대통령과 같다고 표현하고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중국과 같은 페이지를 가고 있는게 더 많이 있다는 것이 이곳 미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이중적...
Janne Pak(박금자) 2017.06.24
(6/22/2017)워싱턴 Nauert 국무성 대변인 미국무성의 Nauert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한국과 중국에 대한 북핵문제 해결에 대해 온도차가 있음을 밝혔다. 어제 국무성에서 있었던 중국과 미국과의 외교안보회의에서 중국이 미국에 제의한 "북한이 핵동결을 하면 전략자산을 축소해야 한다."라는 발언에 대해 미국은 북한의 어떠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것이며, 북한과 대화를 위해서는 북한이 먼저 우리가 우려하고 있는 Step들을 갖추어 질 때라야 대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이 제의하는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하는것과 동일한 것인데 틸러슨 국무장관이 밝힌 북한이 먼저 비핵화를 하지 않는한 협상테이블에 나설수 없고 대화의 여지가 없음을 일축했다. Q: 인도에서 주재하는 계춘영 북한대사가 최근 발언한 미국과의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데 대해 "미국이 한.미훈련을 완전 중단하면 북한도 핵무기 개발을 잠정 중단하겠다."고 말한데 대한 미국의 입장은? : A; 비핵화가 먼저라는것에 대해 우리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 Q; 최근 문정인 통일 외교안보 대통령특보가 " 북한이 핵을 동결하면 한.미훈련을 축소하고 전략자산도 축소하겠다."는 발언에 대해 동의하는가? A: 한국정부가 이미 언급을 한것 같다 그의 발언은 정부의 입장이 아니고 개적인 견해라고 해명했지만, 그 문제에 대해서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의 대화에서 계속 진행될 전망이다. 다시 말하지만 미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 Again, Our position hasn't changed. 북한.한국.중국의 입장이 어떻든 미국의 기본입장은 비핵화가 먼저라는걸 잊어서는 안된다. 북한은 전제조건(without any free-condition)없이 대화에 임하겠다고 하는데, 미국은 비핵화가 곧 전제조건임에 변함이 없다고 한다면 결국 기싸움으로 이어져 가고 있다. 더구나 북한이 한.미훈련 완전중단을 요구하고 핵무기...
Janne Pak(박금자) 2017.06.22
(6/21/2017) -중국이 북한에 대해 더 강한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 * Mattis 국방장관과 Tillerson 국무장관이 중국과 외교 안보 장관회담후 국무성 Dean Acheson 오디토리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있다. 미국과 중국은 2틀동안 워싱턴에서 외교 안보 장관회담을 가졌다. 이번 회담에서 미국과 중국은 북한에 핵 미사일개발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틸러슨 장관은 북한의 핵은 국제사회의 가장 위협적인 것이며 한반도의 비핵화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틸러슨 국무장관은 이번 중국과의 회담은 생산적이었고 북핵문제에 관해 폭넓은 대화를 나눴다고 말하면서 그러나 중국이 북한에 대한 역할을 완성할것인지는 지켜볼것이라고 말했다. 매티스 국방장관은 북한에 억류되었다가 사망한 웜비어 학생에 대해 건강한 청년이 북한에 여행갔다가 죽음으로 돌아온것에 대해 무슨이유가 있었는지 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는 아직 인내를 갖고 지켜보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진실을 보일것이고 피력했다. 한편 틸러슨 장관은 지금까지 중국의 북한에 대한 압박에 대해 만족하느냐?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중국이 북한을 압박하는 역할을 잘하고 있는것 같지만 아직도 미숙한 것들이 많이 있다면서 중국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있는것에 대해 어떤 입장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중국은 역할을 잘하고 있지만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것처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더 강한 압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앞으로 세컨더리 보이콧을 가동할 것으로 보이며 미국의 독자적 행동을 취할 기미를 내 비치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Janne Pak . 한국명: 박 금자/  (재미 언론인) - 20여년 동안 한반도문제를 다루고 있는 여성 언론인 현재 미국방부, 백악관, 국무성, 국회를 출입하고 있다.
Janne Pak(박금자) 2017.06.21
(6/20/2017) -Statement by President Trump on the passing of Otto Warmbier- Otto's fate deepens my Administration's determination to prevent such tragedies from befalling innocent people at the hands of regimes that do not respect the rule of law or basic human decency. The United States once again condemns the brutality of the North Korean regime as we mourn its latest victim. 트럼프 대통령은 웜비어 사망은 북한의 잔혹한 정권에 의해서 희생된것이 틀림없으며 우리는 그 댓가를 반드시 치르게 할것이라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정권의 비극적인 행동이 마지막이길 바란다고 격조높은 목소리로 분을 참지 못했다. 미 의회의 멕케인 의원도 이번 웜비어 사망은 분명한 미 시민이 김정은 정권에 의해 살해 당했다고 말하고 응분의 조치를 취할것이라 말했다. 오늘 백악관 정례브리핑에서 Spicer대변인은 북한에 대해 정치적 경제적으로 더 강한 압박을 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힘을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스파이설 대변인은 중국이 대북압박에 더 힘을 쏟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장래에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과의 만남에 대해서는 그 만남은 더 멀어질 것이다.고 답변했다. 미 국부성의 정례브리핑에서의 웜비어 사망에 대해 Nauert대변인은 북한이 웜비어 사망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 말했다. 이와 더불어 틸러슨 국무장관은 북한은 인권학대에 대해 분명한 책임이 있으며 이에 대해 응분의 대가를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미 국방부는 북한의 잔혹한 행동에 우리는 좌시하지 않을것이고 앞으로 한.미 연합훈련을 더 많이 진행할것이며, 전략적 자산도 한국에...
Janne Pak(박금자) 2017.06.20
(6/19/2017) 지난 16일 워싱턴에서 문정인 대통령 특보가 막말을 한것에 대해 미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미 전문가들과 정치권도 문재인 정권에 좋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우선 북한을 핵개발로 부터 면죄부를 주는 발언과 사드 배치를 1년이상의 기간을 잡는다는 것은 안보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국이 중국의 시선을 고려하고 있지 않는가 하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한.미 연합훈련 축소는 개인의 입에서 함부로 나오지는 않을것이라 믿고 있는 미정부는 어떤형태로는 문재인 대통령의 의중이 함께 작용했을 거라 추측하고 있다. 안보란 어떤 개인의 생각에서 치고 빠지는 그런 감상적인 용어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문정인이 개인 자격이었고 학자로서 한 말이라고 피하고 있지만, 천만에 학자이기 이전에 그는 대통령이 지명한 통일 외교안보 특보라는 타이틀을 가진 고위 정책자이라는걸 명심해야 한다. 아무리 학자라지만 국위를 해칠 막말을 해서는 않된다는 것이다. 더구나 한국과 미국이 북핵문제와 사드문제로 동맹관계가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문정인 특보는 제정신이 있는 사람인지 그의 인격이 의심스럽다. 피해갈 것을 피해가야지 책임을 지고 당장 직책에서 사퇴해야 됨이 마땅하다는 의견이 이곳 미국정가의 그에 관한 분위기다. 문정인 특보는 너무 튀려고 하다가 본인이 하지 말아야 할 소리, 할소리를 가리지 못한것에 대해 미정부에 사과해야 한다. 이번 막말 발언은 미국에 정면으로 한방 내 뱉으려는 계획된 발언이었지 않나 의구심을 나타냈다. 지난 12일 북한에서 식물인간으로 석방된 웸비어 학생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가 사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북한의 잔혹성에...
Janne Pak(박금자) 2017.06.19
(6/14/2017) *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총격사건에 대한 긴급 메시지를 발표하고 있다. 오늘(14일) 오전 7시 버지니아의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야구장에서 내일 있을 국회의원들의 연례 야구경기를 앞두고 22명의 동료 의원들과 야구를 연습하는중 총격사건이 일어났다. 괴한이 쏜 총격으로 미 공화당 원내총무인 Steve Scalise의원이 총상을 입고 긴급히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추가로 총상을 입은 부상자들이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범인은 경찰이 쏜 총에 총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사망했다고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소식을 접한뒤 모든 일정을 취소하였고 백악관에서 미국민들에게 담화를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일어난 총격사건에 대해 온 국민이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다며, 어떤형태로든 미국민의 안전을 제일로 삼고 안전을 위해 노력을 더할 것이라고 말했다. Scalise의원에 대해 그는 나라를 걱정하는 애국자 이며 나의 친한 친구라고 말하며 친구가 빨리 회복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4명의 부상자들에게도 하루속히 회복되기를 기도하겠다며 위로의 말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총기를 사용한 범인에게 미국민의 안전을 해치는 일을 하는 자는 절대 용서치 않겠다고 말하면서 앞으로 모든 안전장치를 동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알렉산드리아 Brown경찰국장과 연방수사국(FBI)의 기자회견이 현장에서 있었으며, 범인은 일리노이주의 벨뷜에 거주하는 66살의 제임스 헛치컨슨으로 밝혀졌다. 범인 제임스씨는 평소에 공화당을 싫어했고 최근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반대하는 글을 그의 소셜 네트워크에 자주 올렸다고 전해졌다. 범인이 왜 이곳 야구장에 까지 왔는지 그리고 총기를 소지할수 있었는지에 대해 현재 연방수사국의 조사가 진행중에 있다. 미국민중에 현 정부를 반대하거나 자신이 원치않는 정책을 만들어 내는 정치인을 타깃하는 정신적인...
Janne Pak(박금자) 2017.06.15
(6/13/2017) * 13일 오후 Jeff Sessions 미 법무장관이 하원 정보위원회 청문회장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 미 국무성 Heather Nauert대변인. ** 미하원 정보위원회는 오늘 Jeff Sessions 법무장관의 러시아 스캔들에 관한 증언을 개최했다. Attorney General Sessions calls allegations of collusion with Russia on 'appalling and detestable lie' 세숀스 법무장관은 2016년 대선때 러시아와의 어떠한 거래가 성립이 되었는지 진실을 알아야 할것이라 말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 로버트 뮐러 특검을 해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폴 라이언 연방하원의장은 특검을 해임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밝히면서 특검을 통해 밝힐건 밝히고 넘어가야 하지 않겠느냐고 그의 소신을 피력했다. 세선스 법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과 코미 전 수사국장간에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가지고 있는 tape를 제출할것과 코미 전 국장의 진술내용이 담긴 증거자료를 제출 할 것을 권유했다. 둘중에 누군가는 거짓증언을 하고 있음에 틀림이 없다는 것이다. 앞으로 뜨거운 공방전이 벌어질 조짐이다. ** 미국무성은 오늘 정례 브리핑에서 17개월동안 북한에 억류되었다가 풀려나온 버지니아 대학교 Otto Warmbier학생에 관한 기자들의 질문에 왐비어가 풀려나 집으로 돌아온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다. 그리고 그가 풀려난 이유에 대해서는 누구도 모르며, 더이상 간섭을 말기로 하자고 기자들에게 일축했다. * 지난 11일 데니스 Rodman이 방북한 사실에 관해서는 왜 그가 방북했는지는 아무도 모르고 있고 그가 미국 돌아와 밝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로드먼의 방북에 대해 본 기자는 최근" 미국회가 발의한 "북한 여행 통재법"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물었다....
Janne Pak(박금자) 2017.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