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N.K‘s blocking of diplomatic channels, we believe diplomacy is the best and the best way to address our very serious concern
Author
Janne Pak
Date
2024-07-17 23:26
(7-17-2024) by: Janne Pak(White House & State Department & Pentagon & Congress Correspondent)
@Q&A with a State Department Spokesperson Matthew Miller and Janne Pak at the State Department Press Briefing on July 17, 2024.
North Korea recently declared that it defines South Korea as its enemy. North Korea also announced today that it will completely abolish dialogue and exchange channels with the United States.
북한은 최근 한국을 적으로 규정한다고 선언했다. 북한은 오늘 또한 미국과의 대화교류 체널을 완전히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In response, the State Department said, “We have been clear for some time that we welcome diplomacy, and we have seen that desire met by North Korea’s provocative actions,” “So we believe diplomacy is best and the best way to address our very serious concerns.”
이에대해 미 국무성은 “우리는 외교를 환영한다는 점을 한동안 분명히 밝혔고, 그러한 열망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으로 충족되는 것을 보아왔다.”며서 “그래서 우리는 외교가 최선이며 우리의 매우 심각한 우려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고 밝혔다.
Regarding China and Russia's agreement to make efforts to lif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t is clear that they (China and Russia) cannot take unilateral action on behalf of the entire UN Security Council," and added, "We, the United States, cannot support North Korea." “It cannot affect sanctions that have been imposed and are still in effect,” The State Department said its firm stance.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제재 해제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동의한데 대해 “그들(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체를 대표하여 일방적인 조치를 취할 수는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면서 “우리 미국이 북한에 부과하고 여전히 유효한 제재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Today (17th), State Department spokesman Matthew Miller responded to my question in a briefing, “North Korea recently declared that it regards South Korea as its enemy, and today announced that it will completely abolish exchange channels with the United States. How will the diplomatic dialogue with North Korea that the United States wants proceed in the future?"
“We have been clear for some time that we welcome diplomacy, and we have seen that desire met by provocative actions from North Korea,” he said. “So we continue to believe that diplomacy is best and the best way to address our very serious concerns.” “I believe it,” he said. He added, “Because North Korea pursued a different path, we continue to take steps to hold them accountable.”
매튜 밀러 국무성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북한은 최근 남한을 적으로 간주한다고 선언한데 이어 미국과의 교류 채널을 완전히 폐지하겠다고 오늘 발표했는데, 미국이 원하는 북한과의 외교대화는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이라고 보느냐?“는 나의 질문에 ”우리는 외교를 환영한다는 점을 한동안 분명히 밝혔고, 그러한 열망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으로 충족되는 것을 보아왔다.“면서 ”그래서 우리는 외교가 최선이며 우리의 매우 심각한 우려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계속 믿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다른 길을 추구했기 때문에 우리는 계속해서 그들에게 책임을 묻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Meanwhile, in response to my question, “Russian President Putin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greed at a recent meeting to lif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aying that revis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s inevitable. Can China and Russia lif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ithout the consent of UN member states?”
“It is clear that they (China and Russia) cannot take unilateral action on behalf of the entire UN Security Council,” he said. “Of course, they cannot influence the sanctions that we, the United States, imposed on North Korea and are still in effect.“ He emphasized.
한편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회담에서 대북제재 개정이 불가피하다며 대북제재 해제에 합의한데 대해,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회원국의 동의 없이 대북제재를 해제할 수 있느냐?”는 나의 질문에 “그들(중국과 러시아)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체를 대표하여 일방적인 조치를 취할 수는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면서 “물론 그들은 우리 미국이 북한에 부과하고 여전히 유효한 제재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대변인은 강조했다.
*The reason why North Korea and Russia cut off communication channels with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fter signing a strategic partnership and military treaty shows that they will maintain a closer relationship with Russia.
북러가 전략적 동반자관계 및 군사조약을 맺은 후 미국과 한국을 향한 대화체널을 끊어버린 이유는 러시아와 더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China and Russia's efforts to lif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can also be seen as an attempt to show solidarity between North Korea, Russia, and China. China is using North Korea strategically while competing with the United States. Considering that China is turning a blind eye to North Korea's numerous provocations and is even making efforts to lift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t is an established fact that China is not fulfilling its role as a permanent member of the UN.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제재를 해제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도 북러중의 연대를 과시하려는 것으로 볼수 있다. 중국은 미국과 경쟁을 하면서 북한을 전략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북한의 수많은 도발을 중국은 눈감아주고 있고 급기야는 유엔의 대북제재마저 해제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을 볼 때 유엔의 상임이사국으로서의 역할을 다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기정 사실이다.
*For more details, Please See the Q&A from State Department Spokesperson Matthew Miller and Janne Pak at the State Department Press Briefing on July 17, 2024.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매튜 밀러 국무성 대변인과 제니 박 기자의 질의응답을 참고하십시오.)
QUESTION:(Janne Pak): Thank you, Matt. Russia and China and North Korea – Russian President Putin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greed to lift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en they recently met, saying that revis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s inevitable. Can China and Russia lift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ithout the consent of UN members?
러시아와 중국, 북한에 관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최근 회담에서 대북제재 개정이 불가피하다며 대북제재 해제에 합의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회원국의 동의 없이 대북제재를 해제할 수 있을까요?
A:(MR MILLER): Well, they cannot, obviously, take unilateral actions on behalf of the entir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And of course, they cannot affect these sanctions that we, the United States, have imposed on North Korea, which remain in effect.
그들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체를 대표하여 일방적인 조치를 취할 수는 없다는 것은 명백합니다. 그리고 물론 그들은 우리 미국이 북한에 부과하고 여전히 유효한 제재에 영향을 미칠 수 없습니다.
QUESTION:(Janne Pak): On North Korea, North Korea recently declared that it regarded South Korea its enemy. It also announced today that it would completely abolish exchange channels with the United States. How do you think the diplomatic dialogue with North Korea that the United States wants will proceed in the future?
북한에 관해, 북한은 최근 남한을 적으로 간주한다고 선언했다. 또 미국과의 교류 채널을 완전히 폐지하겠다고 오늘 발표했습니다. 미국이 원하는 북한과의 외교대화는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MR MILLER): So I don’t have any updates on that. We have made quite clear for some time that we welcome diplomacy, and we have seen that desire met with provocative actions by North Korea. So we continue to believe that diplomacy is the best way to address our very serious concerns. North Korea has pursued a different route and so that’s why we continue to impose accountability measures on them.
그래서 그것에 대한 업데이트가 없습니다. 우리는 외교를 환영한다는 점을 한동안 분명히 밝혔고, 그러한 열망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으로 충족되는 것을 보아왔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외교가 최선이며 우리의 매우 심각한 우려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계속 믿고 있습니다. 북한이 다른 길을 추구했기 때문에 우리는 계속해서 그들에게 책임을 묻는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QUESTION: Thank you.(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Q&A with a State Department Spokesperson Matthew Miller and Janne Pak at the State Department Press Briefing on July 17, 2024.
North Korea recently declared that it defines South Korea as its enemy. North Korea also announced today that it will completely abolish dialogue and exchange channels with the United States.
북한은 최근 한국을 적으로 규정한다고 선언했다. 북한은 오늘 또한 미국과의 대화교류 체널을 완전히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In response, the State Department said, “We have been clear for some time that we welcome diplomacy, and we have seen that desire met by North Korea’s provocative actions,” “So we believe diplomacy is best and the best way to address our very serious concerns.”
이에대해 미 국무성은 “우리는 외교를 환영한다는 점을 한동안 분명히 밝혔고, 그러한 열망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으로 충족되는 것을 보아왔다.”며서 “그래서 우리는 외교가 최선이며 우리의 매우 심각한 우려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고 밝혔다.
Regarding China and Russia's agreement to make efforts to lif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t is clear that they (China and Russia) cannot take unilateral action on behalf of the entire UN Security Council," and added, "We, the United States, cannot support North Korea." “It cannot affect sanctions that have been imposed and are still in effect,” The State Department said its firm stance.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제재 해제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동의한데 대해 “그들(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체를 대표하여 일방적인 조치를 취할 수는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면서 “우리 미국이 북한에 부과하고 여전히 유효한 제재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Today (17th), State Department spokesman Matthew Miller responded to my question in a briefing, “North Korea recently declared that it regards South Korea as its enemy, and today announced that it will completely abolish exchange channels with the United States. How will the diplomatic dialogue with North Korea that the United States wants proceed in the future?"
“We have been clear for some time that we welcome diplomacy, and we have seen that desire met by provocative actions from North Korea,” he said. “So we continue to believe that diplomacy is best and the best way to address our very serious concerns.” “I believe it,” he said. He added, “Because North Korea pursued a different path, we continue to take steps to hold them accountable.”
매튜 밀러 국무성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북한은 최근 남한을 적으로 간주한다고 선언한데 이어 미국과의 교류 채널을 완전히 폐지하겠다고 오늘 발표했는데, 미국이 원하는 북한과의 외교대화는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이라고 보느냐?“는 나의 질문에 ”우리는 외교를 환영한다는 점을 한동안 분명히 밝혔고, 그러한 열망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으로 충족되는 것을 보아왔다.“면서 ”그래서 우리는 외교가 최선이며 우리의 매우 심각한 우려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계속 믿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다른 길을 추구했기 때문에 우리는 계속해서 그들에게 책임을 묻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Meanwhile, in response to my question, “Russian President Putin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greed at a recent meeting to lif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aying that revis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s inevitable. Can China and Russia lif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ithout the consent of UN member states?”
“It is clear that they (China and Russia) cannot take unilateral action on behalf of the entire UN Security Council,” he said. “Of course, they cannot influence the sanctions that we, the United States, imposed on North Korea and are still in effect.“ He emphasized.
한편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회담에서 대북제재 개정이 불가피하다며 대북제재 해제에 합의한데 대해,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회원국의 동의 없이 대북제재를 해제할 수 있느냐?”는 나의 질문에 “그들(중국과 러시아)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체를 대표하여 일방적인 조치를 취할 수는 없다는 것은 명백하다.”면서 “물론 그들은 우리 미국이 북한에 부과하고 여전히 유효한 제재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대변인은 강조했다.
*The reason why North Korea and Russia cut off communication channels with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fter signing a strategic partnership and military treaty shows that they will maintain a closer relationship with Russia.
북러가 전략적 동반자관계 및 군사조약을 맺은 후 미국과 한국을 향한 대화체널을 끊어버린 이유는 러시아와 더 돈독한 관계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China and Russia's efforts to lift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can also be seen as an attempt to show solidarity between North Korea, Russia, and China. China is using North Korea strategically while competing with the United States. Considering that China is turning a blind eye to North Korea's numerous provocations and is even making efforts to lift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t is an established fact that China is not fulfilling its role as a permanent member of the UN.
중국과 러시아가 대북제재를 해제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도 북러중의 연대를 과시하려는 것으로 볼수 있다. 중국은 미국과 경쟁을 하면서 북한을 전략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북한의 수많은 도발을 중국은 눈감아주고 있고 급기야는 유엔의 대북제재마저 해제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을 볼 때 유엔의 상임이사국으로서의 역할을 다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기정 사실이다.
*For more details, Please See the Q&A from State Department Spokesperson Matthew Miller and Janne Pak at the State Department Press Briefing on July 17, 2024.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매튜 밀러 국무성 대변인과 제니 박 기자의 질의응답을 참고하십시오.)
QUESTION:(Janne Pak): Thank you, Matt. Russia and China and North Korea – Russian President Putin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agreed to lift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hen they recently met, saying that revision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s inevitable. Can China and Russia lift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without the consent of UN members?
러시아와 중국, 북한에 관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최근 회담에서 대북제재 개정이 불가피하다며 대북제재 해제에 합의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회원국의 동의 없이 대북제재를 해제할 수 있을까요?
A:(MR MILLER): Well, they cannot, obviously, take unilateral actions on behalf of the entir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And of course, they cannot affect these sanctions that we, the United States, have imposed on North Korea, which remain in effect.
그들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체를 대표하여 일방적인 조치를 취할 수는 없다는 것은 명백합니다. 그리고 물론 그들은 우리 미국이 북한에 부과하고 여전히 유효한 제재에 영향을 미칠 수 없습니다.
QUESTION:(Janne Pak): On North Korea, North Korea recently declared that it regarded South Korea its enemy. It also announced today that it would completely abolish exchange channels with the United States. How do you think the diplomatic dialogue with North Korea that the United States wants will proceed in the future?
북한에 관해, 북한은 최근 남한을 적으로 간주한다고 선언했다. 또 미국과의 교류 채널을 완전히 폐지하겠다고 오늘 발표했습니다. 미국이 원하는 북한과의 외교대화는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MR MILLER): So I don’t have any updates on that. We have made quite clear for some time that we welcome diplomacy, and we have seen that desire met with provocative actions by North Korea. So we continue to believe that diplomacy is the best way to address our very serious concerns. North Korea has pursued a different route and so that’s why we continue to impose accountability measures on them.
그래서 그것에 대한 업데이트가 없습니다. 우리는 외교를 환영한다는 점을 한동안 분명히 밝혔고, 그러한 열망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으로 충족되는 것을 보아왔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외교가 최선이며 우리의 매우 심각한 우려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계속 믿고 있습니다. 북한이 다른 길을 추구했기 때문에 우리는 계속해서 그들에게 책임을 묻는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QUESTION: Thank you.(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Janne Pak, White House Correspondent)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Janne Pak
ㆍ
2024.09.10
ㆍ
Janne Pak
ㆍ
2024.09.08
ㆍ
Janne Pak
ㆍ
2024.09.04
ㆍ
Janne Pak
ㆍ
2024.09.03
ㆍ
Janne Pak
ㆍ
2024.09.01
ㆍ
Janne Pak
ㆍ
2024.08.27
ㆍ
Janne Pak
ㆍ
2024.08.21
ㆍ
Janne Pak
ㆍ
2024.08.16
ㆍ
Janne Pak
ㆍ
2024.08.14
ㆍ
Janne Pak
ㆍ
2024.08.08
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