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 believes South Korean democracy is strong and resilient."
Author
Janne Pak
Date
2024-12-04 23:25
(12-4-2024) by: Janne Pak(White House & State Department & Pentagon & Congress Correspondent)
@Jake Sullivan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or is speaking at an event at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on the 4th.
The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or Jake Sullivan said at a talk event on ‘Fortifying the U.S. Defense Industrial Base’ hosted by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on the 4th, "In the era of strategic competi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U.S.'s security and prosperity is He gave a speech on “strengthening U.S.’s wartime superiority and ‘Fortifying the U.S. Defense Industrial Base'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4일 미국 전략 및 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미국의 방위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대담 행사에서 “전략적 경쟁 시대에 미국의 안보와 번영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인 미국의 전쟁 우위를 강화하고 미국의 방위 산업 기반을 강화하는 것에 대한 연설”을 했다.
Advisor Sullivan shared the steps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taken to rebuild the U.S. defense industry base for the first time in decad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Russia's full-scale invasion of Ukraine, the rapid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the changing nature of the strategic landscape.
설리번보좌관은 러시아의 본격적인 우크라이나 침공 경험, 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전략적 지형의 성격 변화 등을 토대로 바이든 행정부가 수십 년 만에 미국 방산 기반을 재건하기 위해 취한 조치를 공유했다.
Advisor Sullivan said, “We n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to counter China’s naval build-up,” adding that cooperation with allies such as South Korea should be strengthened in response to arms trade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and China’s rapid naval build-up. He emphasized that the shipbuilding industry should be utilized.
설리번 보좌관은 “중국의 해군력 증강에 맞서 한국과 협력을 강화해야”한다면서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거래, 중국의 빠른 해군력 증강에 대응해 한국 등 동맹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하며 미국의 해군력 증강을 위해 한국의 조선업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The United States is concerned about China's rapid increase in naval power, and some expect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which has outstanding capabilities in terms of quality and technology, to resolve these concerns.
미국은 중국이 현재 빠른 속도로 해군력을 증강하는 데 우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각에선 품질과 기술 측면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유한 한국 조선업이 이 같은 염려를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We have developed a set of industrial policy tools that will revolutionize America's manufacturing capabilities in key areas such as semiconductors and clean energy technologies, and in some cases these tools have brought Samsung, LG, and Hyundai to the United States, just as Hanwha and “I believe we can attract similar Korean or Japanese shipbuilders to the United States.”
“우리는 반도체와 청정 에너지 기술 분야 등 핵심 분야에서 미국의 제조 역량에 혁명을 일으킬 만한 일련의 산업 정책 도구를 개발했고, 이러한 도구들이 경우에 따라서는 삼성이나 LG, 현대를 미국에 유치한 것처럼 한화와 같은 한국 또는 일본 조선업체를 미국에 끌어들일 수 있다고 믿는다”는 설명이다.
In a recent phone call with President Yoon Suk-yeol, U.S. President-elect Donald Trump also expressed his intention to cooperate with South Korea in shipbuilding, especially in the areas of warship construction, export, and maintenanc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조선,특히 군함 건조와 수출, 정비 분야에 대한 한국과의 협력 의향을 나타낸 바 있다.
In response to a question about martial law in South Korea,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or Sullivan said, “South Korea’s democracy is strong and resilient.”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질문에 “한국의 민주주의가 강력하고 회복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He said, “What we want to see regarding the declaration and lifting of martial law in South Korea is for Korea’s democratic system to function properly.” He said, “Now a series of procedures are in place to deal with what happened there (in South Korea), and South Korea’s major political parties will proceed with them.”
그러면서 “한국의 비상계엄 발령과 해제 상황과 관련해 우리가 보고 싶은 것은 한국의 민주적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제 그곳(한국)에서 일어난 일에 대처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가 마련되 있고 한국의 주요 정당들이 이를 진행 할 것이다.”고 말했다.
A day ago (the 3rd), the White House said it was very concerned about ‘South Korea’s martial law declaration,’ but it seemed somewhat relieved as the martial law declaration was lifted
하루전(3일) 백악관은 ‘한국의 계엄령선포’를 매우 우려한다고 했지만 계엄령선포가 해제되면서 다소 안심한 모습이다.
Before declaring martial law, President Yoon Suk-yeol said that democracy was under threat due to the continued tyranny of the opposition party, and he was unable to run the country by impeaching all heads of state agencies. After informing the State Council, he inevitably used his presidential authority to stay within the bounds of the law. It was announced to the public that a ‘declaration of martial law’ had been carried out.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령선포을 시행 하기전 야당의 계속된 횡포로 민주주의가 위협에 처하게 되었고 모든 국가기관장을 탄핵으로 몰아부쳐 국가운영을 할 수가 없어 국무위원에게 알린후 불가피하게 대통령권한을 사용해 법 테두리내에서 ‘계엄령선포’를 단행했다고 국민에게 발표했다.
The White House and the Pentagon are expressing confidence that the ROK-US alliance is ironclad and showing that there is no gap in the ROK-U.S. relationship due to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백악관과 펜타곤은 한미 동맹은 철통같이 확고하다는 확신을 표현하면서 계엄령선포로 인해 한미관계가 틈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Jake Sullivan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or is speaking at an event at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on the 4th.
The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or Jake Sullivan said at a talk event on ‘Fortifying the U.S. Defense Industrial Base’ hosted by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on the 4th, "In the era of strategic competi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U.S.'s security and prosperity is He gave a speech on “strengthening U.S.’s wartime superiority and ‘Fortifying the U.S. Defense Industrial Base'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4일 미국 전략 및 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미국의 방위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대담 행사에서 “전략적 경쟁 시대에 미국의 안보와 번영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인 미국의 전쟁 우위를 강화하고 미국의 방위 산업 기반을 강화하는 것에 대한 연설”을 했다.
Advisor Sullivan shared the steps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taken to rebuild the U.S. defense industry base for the first time in decad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Russia's full-scale invasion of Ukraine, the rapid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the changing nature of the strategic landscape.
설리번보좌관은 러시아의 본격적인 우크라이나 침공 경험, 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전략적 지형의 성격 변화 등을 토대로 바이든 행정부가 수십 년 만에 미국 방산 기반을 재건하기 위해 취한 조치를 공유했다.
Advisor Sullivan said, “We need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to counter China’s naval build-up,” adding that cooperation with allies such as South Korea should be strengthened in response to arms trade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and China’s rapid naval build-up. He emphasized that the shipbuilding industry should be utilized.
설리번 보좌관은 “중국의 해군력 증강에 맞서 한국과 협력을 강화해야”한다면서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거래, 중국의 빠른 해군력 증강에 대응해 한국 등 동맹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하며 미국의 해군력 증강을 위해 한국의 조선업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The United States is concerned about China's rapid increase in naval power, and some expect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which has outstanding capabilities in terms of quality and technology, to resolve these concerns.
미국은 중국이 현재 빠른 속도로 해군력을 증강하는 데 우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각에선 품질과 기술 측면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유한 한국 조선업이 이 같은 염려를 해소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We have developed a set of industrial policy tools that will revolutionize America's manufacturing capabilities in key areas such as semiconductors and clean energy technologies, and in some cases these tools have brought Samsung, LG, and Hyundai to the United States, just as Hanwha and “I believe we can attract similar Korean or Japanese shipbuilders to the United States.”
“우리는 반도체와 청정 에너지 기술 분야 등 핵심 분야에서 미국의 제조 역량에 혁명을 일으킬 만한 일련의 산업 정책 도구를 개발했고, 이러한 도구들이 경우에 따라서는 삼성이나 LG, 현대를 미국에 유치한 것처럼 한화와 같은 한국 또는 일본 조선업체를 미국에 끌어들일 수 있다고 믿는다”는 설명이다.
In a recent phone call with President Yoon Suk-yeol, U.S. President-elect Donald Trump also expressed his intention to cooperate with South Korea in shipbuilding, especially in the areas of warship construction, export, and maintenanc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조선,특히 군함 건조와 수출, 정비 분야에 대한 한국과의 협력 의향을 나타낸 바 있다.
In response to a question about martial law in South Korea,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Advisor Sullivan said, “South Korea’s democracy is strong and resilient.”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질문에 “한국의 민주주의가 강력하고 회복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He said, “What we want to see regarding the declaration and lifting of martial law in South Korea is for Korea’s democratic system to function properly.” He said, “Now a series of procedures are in place to deal with what happened there (in South Korea), and South Korea’s major political parties will proceed with them.”
그러면서 “한국의 비상계엄 발령과 해제 상황과 관련해 우리가 보고 싶은 것은 한국의 민주적 제도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제 그곳(한국)에서 일어난 일에 대처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가 마련되 있고 한국의 주요 정당들이 이를 진행 할 것이다.”고 말했다.
A day ago (the 3rd), the White House said it was very concerned about ‘South Korea’s martial law declaration,’ but it seemed somewhat relieved as the martial law declaration was lifted
하루전(3일) 백악관은 ‘한국의 계엄령선포’를 매우 우려한다고 했지만 계엄령선포가 해제되면서 다소 안심한 모습이다.
Before declaring martial law, President Yoon Suk-yeol said that democracy was under threat due to the continued tyranny of the opposition party, and he was unable to run the country by impeaching all heads of state agencies. After informing the State Council, he inevitably used his presidential authority to stay within the bounds of the law. It was announced to the public that a ‘declaration of martial law’ had been carried out.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령선포을 시행 하기전 야당의 계속된 횡포로 민주주의가 위협에 처하게 되었고 모든 국가기관장을 탄핵으로 몰아부쳐 국가운영을 할 수가 없어 국무위원에게 알린후 불가피하게 대통령권한을 사용해 법 테두리내에서 ‘계엄령선포’를 단행했다고 국민에게 발표했다.
The White House and the Pentagon are expressing confidence that the ROK-US alliance is ironclad and showing that there is no gap in the ROK-U.S. relationship due to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백악관과 펜타곤은 한미 동맹은 철통같이 확고하다는 확신을 표현하면서 계엄령선포로 인해 한미관계가 틈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Janne Pak, White House Correspondent)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Janne Pak
ㆍ
2025.01.17
ㆍ
Janne Pak
ㆍ
2025.01.15
ㆍ
Janne Pak
ㆍ
2025.01.13
ㆍ
Janne Pak
ㆍ
2025.01.11
ㆍ
Janne Pak
ㆍ
2025.01.11
ㆍ
Janne Pak
ㆍ
2025.01.09
ㆍ
Janne Pak
ㆍ
2025.01.06
ㆍ
Janne Pak
ㆍ
2025.01.06
ㆍ
Janne Pak
ㆍ
2025.01.04
ㆍ
Janne Pak
ㆍ
2025.01.03
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