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te House: Strong condemnation of North Korea's ballistic missile launch_“President Yoon’s released from illegal detention”
Author
Janne Pak
Date
2025-03-12 00:01
(3-11-2025) by: Janne Pak(White House & State Department & Pentagon & Congress Correspondent)
"Regarding the U.S. reaction as an ally to President Yoon’s released from illegal detention: "We are confident that the people of South Korea will continue to decide their own future."
@Q&A with a White House Press Secretary Karoline Leavitt and Janne Pak at the White House Press Briefing on March 11, 2025.
North Korea fired several ballistic missiles from the inland of Hwanghae Province toward the West Sea yesterday (the 10th, local time). On this day, the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 (Freedom Shield) is beginning, so we are keeping a close eye on North Korea’s provocations.
As Kim Jong-un also revealed the construction of a nuclear-powered submarine, the possibility of technical assistance from Russia is gaining weight.
북한이 어제(10일, 현지시간) 황해도 내륙에서 서해 방향으로 탄도미사일 수발을 발사했다. 이날은 한미 연합군사훈련(프리덤 실드)가 시작되고 있는 때라 북한의 도발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정은이 또한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공개하면서 러시아의 기술지원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The White House today strongly condemned North Korea’s launch of ballistic missiles for the first time since President Trump took office yesterday (the 10th, local time).
미 백악관은 오늘 북한이 어제(10일,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처음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데 대해 강력히 규탄했다.
In a regular briefing today (the 11th, local time), White House Press Secretary Karoline Leavitt responded to my question, “North Korea fired several ballistic missiles toward the West Sea yesterday. What is the White House’s response?”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오늘(11일, 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어제 서해안으로 여러 발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백악관의 반응은 무엇이냐?”는 나의 질문에,
“We condemn these actions and call on North Korea to cease its illegal and destabilizing actions,” Leavitt said. She also emphasized, “The US-ROK alliance is ironclad, and the Trump administration is maintaining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ROK as we work together to promote a free and open Indo-Pacific.”
레빗 대변인은 “우리는 이러한 행동을 규탄하며 북한에 불법적이고 불안정을 조성하는 행동을 중단할 것을 축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한 동맹은 철통 같고, 트럼프 행정부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촉진하기 위해 협력하는 가운데 한국 측과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Next, when I asked, “What is the reaction of the United States, our ally, to the release of South Korean President Yoon, who was illegally arrested and detained, and what are the chances of a summit meeting with President Trump upon President Yoon’s return?” Levitt replied, “I will ask the NSC about that matter and let you know.”
이어 “불법 체포로 감금된 한국 윤대통령이 감금에서 풀려난데 대해 동맹인 미국의 반응은 무엇이며, 윤대통령 복귀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가능성은 어떠한가?”라는 나의 질문에, 레빗대변인은 “그 문제는 NSC에 물은후 알려주겠다.”고 답했다.
In preparation for North Korea's provocations taking advantage of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the US and South Korea are preparing a watertight readiness posture.
한국의 혼란스런 정국을 틈타 북한의 도발이 가해질 것에 대비해 미.한 양국은 물샐틈없는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The entire nation hopes that President Yoon will return to work as soon as possible to resolve security vacuums and normalize state operations.
하루속히 윤대통령이 업무에 복귀해서 안보공백등을 해소하고 정상적인 국가운영을 해 나가길 온 국민들은 바라고 있다.
*For more details, Please See the Q&A from White House Press Secretary Karoline Leavitt and Janne Pak at the White House Press Briefing on March 11, 2025.
(자세한 내용은 아래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과 제니 박기자의 질의응답을 참고하십시오.)
QUESTION:(Janne Pak): As you know, South Korean President Yoon has been released from illegal detention. What is the reaction of the U.S. as an ally? Is there a possibility of a summit with President Trump when President Yoon returns?
아시다시피,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불법 구금에서 풀려났습니다. 동맹국인 미국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윤 대통령이 돌아오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까?
A:(Leavitt): I'll ask NSC and let you know
NSC에 물어본 후 알려주겠다.
**Here is NSC's follow up answer to my question:
Q: What is the U.S. reaction to President Yoon being released from illegal detention ?
A: We are confident that the people of South Korea will continue to decide their own future.
(윤대통령 불법구속으로 부터 석방에 대한 미국의 반응은?:
-우리는 한국 국민이 앞으로도 스스로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Q: About the summit with President Trump and President Yoon?:
A: We have nothing to announce at this time
(트럼프 대통령과 윤대통령의 정상회담에 대해: 지금은 발표할 것이 없습니다.)
**미국은 결국 한국의 혼란정국에 대해 법치주의에 근거에 따라 한국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결정해야 된다고 확신하고 있다. 결국 법대로 판단해야 된다는 것이지 야당의 사법횡포로 법치주의 근간을 강압적으로 흔들어서는 않된다는 것이 지속적인 입장이라고 볼수있다.
QUESTION:(Janne Pak): The North Korea launched several ballistic missiles into the West Coast Yesterday.
-What is the White House's reaction to this?
북한이 어제 서해안으로 여러 발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A:(Leavitt): “We condemn these actions and we call on North Korea to stop their unlawful and destabilizing actions. As for South Korea, the US and the Republic of Korea's alliance is ironclad and the Trump administration remains in close contact with our South Korean counterparts as we work together to promote a free and open Indo pacific.”
"우리는 이러한 행동을 규탄하며 북한에 불법적이고 불안정하게 만드는 행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합니다. 한국에 관해서는 미국과 대한민국의 동맹은 철통같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 태평양을 촉진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 한국측과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Janne Pak, White House Correspondent)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Regarding the U.S. reaction as an ally to President Yoon’s released from illegal detention: "We are confident that the people of South Korea will continue to decide their own future."

North Korea fired several ballistic missiles from the inland of Hwanghae Province toward the West Sea yesterday (the 10th, local time). On this day, the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 (Freedom Shield) is beginning, so we are keeping a close eye on North Korea’s provocations.
As Kim Jong-un also revealed the construction of a nuclear-powered submarine, the possibility of technical assistance from Russia is gaining weight.
북한이 어제(10일, 현지시간) 황해도 내륙에서 서해 방향으로 탄도미사일 수발을 발사했다. 이날은 한미 연합군사훈련(프리덤 실드)가 시작되고 있는 때라 북한의 도발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정은이 또한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공개하면서 러시아의 기술지원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The White House today strongly condemned North Korea’s launch of ballistic missiles for the first time since President Trump took office yesterday (the 10th, local time).
미 백악관은 오늘 북한이 어제(10일, 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처음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한데 대해 강력히 규탄했다.
In a regular briefing today (the 11th, local time), White House Press Secretary Karoline Leavitt responded to my question, “North Korea fired several ballistic missiles toward the West Sea yesterday. What is the White House’s response?”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오늘(11일, 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어제 서해안으로 여러 발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백악관의 반응은 무엇이냐?”는 나의 질문에,
“We condemn these actions and call on North Korea to cease its illegal and destabilizing actions,” Leavitt said. She also emphasized, “The US-ROK alliance is ironclad, and the Trump administration is maintaining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ROK as we work together to promote a free and open Indo-Pacific.”
레빗 대변인은 “우리는 이러한 행동을 규탄하며 북한에 불법적이고 불안정을 조성하는 행동을 중단할 것을 축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한 동맹은 철통 같고, 트럼프 행정부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촉진하기 위해 협력하는 가운데 한국 측과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Next, when I asked, “What is the reaction of the United States, our ally, to the release of South Korean President Yoon, who was illegally arrested and detained, and what are the chances of a summit meeting with President Trump upon President Yoon’s return?” Levitt replied, “I will ask the NSC about that matter and let you know.”
이어 “불법 체포로 감금된 한국 윤대통령이 감금에서 풀려난데 대해 동맹인 미국의 반응은 무엇이며, 윤대통령 복귀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 가능성은 어떠한가?”라는 나의 질문에, 레빗대변인은 “그 문제는 NSC에 물은후 알려주겠다.”고 답했다.
In preparation for North Korea's provocations taking advantage of the chaotic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the US and South Korea are preparing a watertight readiness posture.
한국의 혼란스런 정국을 틈타 북한의 도발이 가해질 것에 대비해 미.한 양국은 물샐틈없는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
The entire nation hopes that President Yoon will return to work as soon as possible to resolve security vacuums and normalize state operations.
하루속히 윤대통령이 업무에 복귀해서 안보공백등을 해소하고 정상적인 국가운영을 해 나가길 온 국민들은 바라고 있다.
*For more details, Please See the Q&A from White House Press Secretary Karoline Leavitt and Janne Pak at the White House Press Briefing on March 11, 2025.
(자세한 내용은 아래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과 제니 박기자의 질의응답을 참고하십시오.)
QUESTION:(Janne Pak): As you know, South Korean President Yoon has been released from illegal detention. What is the reaction of the U.S. as an ally? Is there a possibility of a summit with President Trump when President Yoon returns?
아시다시피,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불법 구금에서 풀려났습니다. 동맹국인 미국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윤 대통령이 돌아오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까?
A:(Leavitt): I'll ask NSC and let you know
NSC에 물어본 후 알려주겠다.
**Here is NSC's follow up answer to my question:
Q: What is the U.S. reaction to President Yoon being released from illegal detention ?
A: We are confident that the people of South Korea will continue to decide their own future.
(윤대통령 불법구속으로 부터 석방에 대한 미국의 반응은?:
-우리는 한국 국민이 앞으로도 스스로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Q: About the summit with President Trump and President Yoon?:
A: We have nothing to announce at this time
(트럼프 대통령과 윤대통령의 정상회담에 대해: 지금은 발표할 것이 없습니다.)
**미국은 결국 한국의 혼란정국에 대해 법치주의에 근거에 따라 한국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결정해야 된다고 확신하고 있다. 결국 법대로 판단해야 된다는 것이지 야당의 사법횡포로 법치주의 근간을 강압적으로 흔들어서는 않된다는 것이 지속적인 입장이라고 볼수있다.
QUESTION:(Janne Pak): The North Korea launched several ballistic missiles into the West Coast Yesterday.
-What is the White House's reaction to this?
북한이 어제 서해안으로 여러 발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A:(Leavitt): “We condemn these actions and we call on North Korea to stop their unlawful and destabilizing actions. As for South Korea, the US and the Republic of Korea's alliance is ironclad and the Trump administration remains in close contact with our South Korean counterparts as we work together to promote a free and open Indo pacific.”
"우리는 이러한 행동을 규탄하며 북한에 불법적이고 불안정하게 만드는 행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합니다. 한국에 관해서는 미국과 대한민국의 동맹은 철통같으며 트럼프 행정부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 태평양을 촉진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 한국측과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끝)
All Copy Rights Reserved: on USA JOURNAL KOREA Site.

A Professional female Journalist who has covered the Korean Peninsula Issues and Korea-U.S. relations for over 20 years, White House, Pentagon, State Department, Congress.
Janne Pak
ㆍ
2025.04.17
ㆍ
Janne Pak
ㆍ
2025.04.11
ㆍ
Janne Pak
ㆍ
2025.04.10
ㆍ
Janne Pak
ㆍ
2025.04.04
ㆍ
Janne Pak
ㆍ
2025.04.02
ㆍ
Janne Pak
ㆍ
2025.04.02
ㆍ
Janne Pak
ㆍ
2025.04.02
ㆍ
Janne Pak
ㆍ
2025.03.27
ㆍ
Janne Pak
ㆍ
2025.03.25
ㆍ
Janne Pak
ㆍ
2025.03.24
ㆍ